냉장고가 안 시원해요!!! 뜨거워지는 원인과 대처법
냉장고는 식품을 식히거나 얼음을 만드는 가전제품입니다. 이런 냉장고에서 열기를 느낀다면 무엇인가 문제가 발생했다는 건데요. 냉장고가 지나치게 뜨거워질 경우 냉장고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냉장고가 지나치게 뜨거워진 상태에서 계속 사용하면 냉장고 고장이나 전기세가 높아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냉장고가 안 시원해지고 측면 등이 뜨거워지는 원인과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냉장고가 안 시원해지는 원인
냉장고가 뜨거워지는 것은 고장이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냉장고는 내용물을 식힐 때 냉장고 내의 열을 밖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냉장고 주변은 온도가 올라가기 쉬운 경향이 있습니다. 냉장고의 가동 상황에 따라 주위 온도의 15~20℃ 정도 뜨거워지며, 특히 여름철에는 50~60℃ 까지 오르기도 합니다.
또한 냉장고를 설치한 직후에는 냉장고 안을 식히기 위해 발열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냉장고가 뜨거워지기 쉽습니다.
설치 환경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냉장고 주변에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열이 빠져나갈 곳을 잃어 냉장고가 뜨거워집니다. 만약 여름철도 아니고 설치 직후도 아닌데 냉장고에서 비정상적인 온도를 느낀다면 고장이 났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냉장고 측면이 뜨거운 건 고장?
냉장고가 뜨거워지는 이유에 대해 알아봤지만, 냉장고는 후면뿐만 아니라 측면도 뜨거워질 수 있습니다. 측면이 뜨거워지는 원인은 냉장고 측면에 내장된 방열용 파이프를 통해 방열하기 때문입니다.
즉 냉장고 측면이 뜨겁게 느껴지는 것은 냉장고가 방열하고 있다는 증거로, 고장 난 것이 아니라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는 것입니다.
대부분 냉장고에는 보호 장치가 달려 있어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높거나 부하가 걸리면 운전이 정지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냉장고가 뜨거워서 고장이 의심될 경우에는 먼저 냉장고 보호장치가 작동되서 운전이 멈추지 않았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냉장고가 뜨거울 때 단점
01 전기요금 상승
냉장고가 뜨거워지면 전기 요금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냉장고가 뜨거워지는 원인인 방열이 잘 행해지지 않았으며 냉각이 잘 안되고 냉장고에 부담이 걸릴 수 있습니다.
02 수명이 단축된다
냉장고가 비정상적으로 뜨거워지면 냉장고에 부담이 걸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뜨거운 상태로 냉장고를 계속 방치하면 수명이 줄고 교체 주기 시간이 짧아집니다.
냉장고가 안 시원해졌을 때 응급처치
01 벽 측의 방열 공간 확보
냉장고 주변의 방열 공간 확보가 중요합니다. 냉장고에 따라 벽과의 거리가 다르지만 가능한 한 측면과 뒷면에 공간을 열어 방열하기 쉽게 해 냉장고가 뜨겁게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02 냉장고 상부의 공간 확보
냉장고는 측면과 뒷면뿐만 아니라 냉장고의 상판에서도 방열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냉장고 설치 시 천장과의 간격이나 냉장고 위에 전기 제품 등을 두지 않도록 해 냉장고 주위의 공기가 순환하기 쉽게 합니다.
03 정기적 냉장고 청소
냉장고에 음식을 너무 많이 넣으면 냉장고가 뜨거워질 수 있습니다. 냉장고를 정리해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기 쉽게 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해 냉장고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냉장고 안에 생긴 서리는 냉각효율을 낮게 하는 원인 중 하나로 정기적으로 체크하고 제거해 줘야 합니다.
04 뜨거운 식품 바로 넣지 않기
냉장고 안에 뜨거운 식품을 즉시 넣으면 식품을 식힐 때 가동한 열을 방출하여 냉장고가 뜨거워질 수 있습니다. 식히는 대상의 온도가 높으면 그만큼 냉장고도 가동해 뜨거워지므로 가능한 한 식힌 식재료를 넣는 것이 중요합니다. 냉장고의 부담을 피하기 위해 조리 직후 따뜻한 것은 식혀 상온에 가까운 상태가 되고 나서 냉장고에 넣어 주세요.
05 냉장고 주변 공간 확보
냉장고의 방열을 생각해 주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냉장고와 다른 가전은 가능한 거리를 두고 배치해 주세요. 특히 불을 취급하는 주방에서는 뜨거워지는 전자레인지나 오븐, 쿡탑과 같은 가전과는 거리를 멀리 해 주세요. 가능한 한 열을 발생하는 가전제품과 떼어 놓는 것만으로도 냉장고 주변의 열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기간 짧은 바나나를 10일 이상 오래 보관하는 방법 (0) | 2022.05.19 |
---|---|
의료인이 말하는 레티놀 효과와 레티놀 부작용 (0) | 2022.05.19 |
겨드랑이 냄새는 왜 날까? 액취증 원인과 제거 방법 (0) | 2022.05.12 |
냉동실 서리 제거 방법 (0) | 2022.05.11 |
냉장고에서 이상한 소리(소음) 발생시 원인과 상황별 대처법 (0) | 2022.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