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체했을 때 편의점 소화제 추천! 베아제 vs 훼스탈골드 비교
외출 중이거나 갑자기 기름진 음식을 먹고 속이 더부룩하거나 급체한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저는 특히 여행 중이나 야식으로 치킨, 떡볶이 같은 걸 먹고 자고 나면 속이 꽉 막힌 듯 불편하더라고요. 이럴 때마다 정말 다급해져요. ‘편의점에 소화제 있을까?’ 하고요. 다행히 요즘엔 웬만한 편의점에 소화제가 구비되어 있어서 급한 불은 끌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이 베아제와 훼스탈골드인데요. 이름은 익숙하지만 정확히 뭐가 다른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오늘은 급체했을 때 이 두 소화제 중 어떤 걸 선택해야 하는지, 각 제품의 특징과 차이점, 복용법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1. 베아제(Beazyme): 평소 속 더부룩한 분에게 딱
베아제는 대표적인 종합 소화제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우리가 평소 먹는 모든 영양소를 소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다양한 효소가 골고루 들어 있어요. 특히 밥을 먹고 나서 속이 더부룩하거나 트림이 잘 안 나올 때, 전반적으로 소화력이 떨어질 때 효과적입니다.
주요 성분
○ 아밀라아제: 탄수화물 분해
○ 프로테아제: 단백질 분해
○ 리파아제: 지방 분해
○ 셀룰라아제: 식이섬유 분해
○ 비오디아스타제: 전분 분해 촉진
복용법
○ 식사 후 1정, 씹어서 복용
특징
○ 낱개 포장으로 휴대 간편
○ 복용 후 30분 내외로 효과 발현
○ 자극적이지 않아 위가 약한 분에게도 적합
추천 대상
○ 평소 위장이 약한 분
○ 일반적인 과식이나 속 더부룩함이 잦은 분
○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고 소화가 느릴 때
2. 훼스탈골드(Festal Gold): 기름진 음식에 강한 소화제
훼스탈골드는 특히 고기, 튀김 등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 섭취 후 소화가 안 될 때 효과적인 소화제입니다. 기본적인 소화효소는 물론이고, 담즙 성분과 가스 제거 성분(시메티콘)까지 들어 있어 더욱 강력한 소화 효과를 보여줘요.
주요 성분
○ 판크레아틴: 주요 영양소 소화
○ 리파아제: 지방 소화 특화
○ 담즙 추출물: 지방 유화 및 소화 촉진
○ 시메티콘: 위장 가스 제거
복용법
○ 식사 후 1정, 씹어서 복용
특징
○ 지방 소화 능력이 탁월
○ 위 팽만감과 트림 억제에 효과
○ 기름진 식사 후 복용 시 빠른 효과
추천 대상
○ 치킨, 삼겹살, 튀김 등 섭취 후 속이 답답한 분
○ 복부 팽만감이나 가스가 심한 분
○ 소화 후 트림이 잦은 분
3. 한눈에 비교! 베아제 vs 훼스탈골드
4. 소화제 없어도 당황 NO! 급체 시 대처법까지
소화제가 없다면 당황하지 말고,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활용해 보세요.
1) 합곡혈 지압 엄지와 검지 사이를 지그시 눌러주세요. 위장운동을 자극해 트림이나 소화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2) 따뜻한 물 마시기 찬물은 위장을 더 경직시키기 때문에, 미지근하거나 따뜻한 물을 천천히 마시는 것이 좋아요.
3) 가볍게 걷기 과식 직후 눕는 것보다는, 천천히 10~15분 정도 걷는 것이 소화에 더 도움이 됩니다.
4) 제산제 활용 속 쓰림이 동반될 경우, 겔포스나 개비스콘 같은 제산제를 함께 복용해 주면 좋습니다.
5. 내 몸 상태에 맞는 소화제를 똑똑하게 선택하세요
급체나 과식은 언제, 어디서든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럴 때 가장 간편한 해결책이 바로 편의점 소화제예요. 하지만 아무거나 먹기보다는 내 상황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전반적인 소화 불량에는 베아제, 기름진 음식에 의한 더부룩함에는 훼스탈골드가 더 효과적이라는 점, 기억해 두시면 좋겠죠? 그리고 소화제를 복용하더라도, 생활습관 개선과 식사량 조절, 평소 위 건강 관리도 함께 병행하시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것, 잊지 마세요!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 바짝 마른다면 ‘셰그렌 증후군’ 의심해보세요 (0) | 2025.04.03 |
---|---|
치매가 아니라 ‘섬망’? 노인에게 자주 나타나는 혼동 증상 (0) | 2025.04.03 |
신사구체여과율 높으면 위험할까? (0) | 2025.04.03 |
총콜레스테롤 수치 200 넘으면 생기는 증상은? (0) | 2025.04.02 |
급성 장염 음식, 바나나와 포카리 정말 좋을까? (0)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