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8 발코니와 베란다의 차이 쉽게 구분하기 발코니와 베란다, 테라스는 언뜻 들으면 비슷한 것 같아 헷갈리기 쉽지만, 건축법상 세 가지의 의미는 전혀 다릅니다.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확장 공사를 하다 큰 코를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차이 발코니 발코니는 주택의 거실과 연결되어 건물 외부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만든 돌출된 공간을 의미합니다. 보통 아파트에서 흔히 베란다로 부르는 공간은 발코니가 정확한 표현입니다. 거실이나 주방 또는 방에서 연결되어 빨래를 널거나, 작은 화단 등을 놓을 수 있는 발코니는 흔히 아파트를 분양할 때 서비스 공간으로 전용면적에는 포함되지는 않습니다. 단독 주택에서 발코니는 거실의 연장으로 앞마당과 주방에 연결되는 부분입니다. 발코니는 공급면적에서 제외되는 공간입.. 2021. 10. 21. 건폐율과 용적률의 차이 건물을 지을 때 건물의 규모는 건폐율과 용적률에 의해 결정됩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은 건축법에 따라 토지마다 규모가 정해져 있습니다. 오늘은 건폐율과 용적률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폐율과 용적률의 차이 건폐율 건폐율이란 대지 면적에 대한 건물의 바닥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건축물이 몇 층인가와는 상관없이 1층의 바닥면적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100㎡의 대지에서 50㎡ 부분에 건물을 올렸으므로 건폐율은 50%가 됩니다. 건폐율이 낮을수록 토지에는 건축물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건축물이 없는 잉여 공간에 나무, 꽃을 심어 정원 등을 조성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건폐율이 낮은 아파트일수록 테마정원, 놀이터 등을 조성하여 쾌적성이 좋은 아파트 단지가 될 수 있습니다. 용적률.. 2021. 10. 20. 전용면적 공용면적 공급면적 기타 공용면적 적용방법 전용면적 공용면적 공급면적 기타 공용면적 적용법 아파트 견본 주택에 가거나 또는 부동산 계약서 작성 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면적에 대한 여러 가지 용어입니다. 아파트 면적을 말할 때 전용면적, 공급면적, 공용면적, 계약면적 등 다양한 용어가 사용됩니다. 같은 34평형 아파트라 해도 계약면적에서 전용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실제 집 크기가 달라집니다. 따라서 아파트를 구매할 때 각각의 용어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피해 보는 일이 없습니다. 전용면적 집에 거주하는 사람이 본인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현관, 거실, 주방, 화장실 등 실제 입주해서 우리 가족만이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집 내부의 면적을 말합니다. 단 발코니는 관계법률상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전용면적은 사는 .. 2021. 10. 18. 수도권의 정확한 범위는 어디까지 일까? 수도권이란? 뉴스나 신문을 보다 보면 수도권이라는 표현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수도권이란 정확히 어디를 말하는 것일까요? 수도권이란 수도를 중심으로 이어진 대도시권으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등 서울 및 주변지역을 통칭하는 권역을 말합니다. 수도권은 수도를 포함한 대도시 권역입니다. 따라서 서울도 수도권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서울 및 수도권이라는 표현보다 수도권이 더 바른 표현입니다. 수도권 초기 개념은 서울에 직장을 두고 출퇴근을 하는 통근권의 범위로 보기도 했으나 오늘날은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고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수도권을 바라보는 관점이 넓어졌습니다. 특히 고속철 및 고속도로, 지하철 등이 활성화되면서 경기 지방과 인접한 충청남*북도의 일부 지역까지 수도권으로 보는 경.. 2021. 10. 1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