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 중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어떻게 될까요?
대부분의 운전자는 운전 중에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어떤 상황이 발생하게 될까? 하는 생각 한 번쯤은 해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시도한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주행 중 차가 멈추거나 핸들 조작이 안 되는 등 위험한 상황에 대한 두려움으로 시도를 못 해볼 것 같은데요. 주행 중 스타트 버튼을 작동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운전 중 시동 버튼을 누르는 자동차의 반응
과거에는 키가 점화 지점에 들어간 후에 차가 출발했지만 요즘 출시되는 대부분의 자동차는 스타트 버튼을 눌러 엔진을 작동시킵니다. 하지만 엔진이 작동 중일 때 실수나 호기심에 이 버튼을 터치하면 어떻게 될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대부분의 자동차는 속도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1. 느린 속도로 주행 중 스타트 버튼을 누를 경우
자동차가 약 10km/h의 속도로 달릴 때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꺼지면서 자동차는 멈추게 됩니다.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는 이유는 주로 속도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차량은 입력된 특정 임계값에서 정지하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2. 고속 주행 중 스타트 버튼을 누를 경우
약 80km/h 이상의 고속 주행 중 시작 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꺼지지 않습니다. 즉 고속주행 중에는 스타트 버튼을 눌러도 안전을 위해 시동이 꺼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급발진을 비롯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해 시동을 긴급하게 꺼야 할 상황이 발생한다면 스타트 버튼을 3회 이상 연속으로 누르거나 3초 이상 길게 누르고 있으면 이는 운전자의 실수가 아닌 운전자의 판단에 따른 것으로 인식해 강제로 시동이 꺼집니다.
운전 중 시동을 끄게 되면, 차를 제어하기가 어려워지고 핸들이 잠길 수도 있어 차량이 통제력을 잃고 위험한 상황에 닥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부 자동차 및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경우 파워 스티어링이 꺼지고 스티어링 휠이 더 조여지게 됩니다. 파워 스티어링과 함께 브레이크도 문제가 발생하는데, 제동이 훨씬 더 힘들고 매우 느리게 반응하게 됩니다. 훈련되지 않은 운전자가 이런 행동을 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절대 자동차 운행 중 스타트 버튼을 누르는 행동은 금지해야 합니다.
강제로 시동이 꺼진 후 다시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변속기 위치를 D에서 N으로 옮기거나 시프트 락 버튼을 눌러 P까지 옮겨준 다음 스타트 버튼을 다시 누르면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리드 자동차 유지비 가솔린 자동차 보다 더 들까? (1) | 2021.10.20 |
---|---|
중고 타이어 가격 알아보기 전 위험성부터 알자!!! (0) | 2021.10.16 |
새 타이어 교체 앞바퀴? 아니면 뒷바퀴? 정확한 선택은? (0) | 2021.10.15 |
모르면 고장나기 쉬운 하이브리드 자동차 관리방법(엔진,타이어,배터리 등) (0) | 2021.10.15 |
하이브리드vs플러그인 하이브리드vs전기차 차이점과 장단점 한눈에 비교하기 (0) | 2021.10.14 |
댓글